Welcome to our website (gisoopa + TRUST).

Dream the impossible, Do the impossible love, Fight with unwinnable enemy, Resist the unresistable pain, Catch the uncatchable star in the sky.
이룰 수 없는 꿈을 꾸고,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하고, 이길 수 없는 적과 싸움을 하고, 견딜 수 없는 고통을 견디며, 닿을 수 없는 저 밤하늘의 별을 따자.
-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 중에서 -

혁신적 강의란?

혁신적 강의는 내 강좌를 세상에 공개함으로 시작한다. 더 많은 사람들이 내 수업에 들끓도록 하자.

소통과 나눔의 무대

제1회 소나무. 소통으로 찾은 행복. 2012년 3월 23일

창의성

연결만 잘 시켜도, 창의적인 생각은 차고 넘친다.

생태계

기업을 살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서로 서로 연결되어 새로운 가치를 만들게 하는 것

TRUST

TRUST = Tree Roots Using Social Technology. 울 연구실 로고다.

레이블이 SNS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SNS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년 8월 8일 토요일

[리뷰] Blogo 앱 테스트

맥용 블로깅 앱은 Blogo를 테스트해보았다.
기본적으로 에버노트기반으로 워드프레스와 블로거에 최적화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완전히 내가 사용하는 환경과 100% 동일한 것이다. 가격은 MarsEdit보다 저렴한 32.99달러이다. 일단 20일 무료테스트를 시도한다.
첫 시작은 연동작업. Blogo와 워드프레스를 연동하고, Blogo와 에버노트를 연동한다.

1) 일단 에버노트에서 원고를 작성한다.


2) 동기화를 누르면 자동으로 Blogo 앱에 내용이 나타난다.


3) 마지막으로 블로그에서 확인해 보면, 짜잔... 이거 대박인걸...


* 마지막으로 Blogo 홍보동영상은 무척 매력적이다

2015년 2월 10일 화요일

에버노트의 자료분류 나는 계속 공사중이다

에버노트에서 자료를 분류하는 방식은 크게 두가지가 있다. 트리구조(tree structure)의 노트북과 스택. 네트워크구조(network structure)의 태그.

에버노트 사용 초중반까지도 태그는 거의 활용하지 않고 전통적 분류체계인 노트북과 스택과 사용했다. 인류의 역사는 트리구조의 지식분류역사와 동일하다는 알렉스 라이트의 말대로 태그보다는 노트북 중심의 자료분류만을 활용하였다.

하지만, 에버노트 대가 홍순성님의 조언에 따라 태그만을 가지고 자료분류하기로 결정. 기존의 노트북은 전면 삭제하고 태그 중심의 네트워크 구조만 남기는 대수술을 단행했다.

몇달이 지난후, 태그가 주는 편리함보다도 노트북이 주는 전통적 분류체계가 주는 직관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판단을 다시 하게 되었다. 즉, 노트북 분류와 태그 분류을 병행해서 사용하기로 최종 결정... 그래서 지금도 에버노트 자료 재분류 공사는 계속 진화중이다.

누군가 그러더군.. 이것이 학습하는 과정이라고, 쌓아놓은 개인의 지식체계를 계속 흔드는 것이 학습이라는 것이다.



2015년 2월 9일 월요일

개인의 비구조화된 자료관리도구로 최고인 에버노트(evernote)

정보화가 진전되어도 그동안 초점 맞추어왔던 분야는 정형화된 자료에 대한 정보화다. 그나마 기업에서는 나름대로 비정형화된 형태의 자료(동영상, 각종 종이문서, 메일 등)를 지식경영시스템을 활용해 관리하려고 노력해 왔으나 쉽지는 않았다.

하지만 개인의 정보관리 측면에서는 별다른 방법이 없었다. 그냥 파일을 하드디스크나 클라우드 서비스에 맡기는 두는 것뿐이였다.

이런 측면에서 에버노트야 말로 개인정보관리로써는 최상의 도구이다. 노트북과 태그를 잘 활용하면 개인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축도 가능하며 비정형화된 자료의 관리도 용이하다.

나의 모든 자료의 콘트롤타워(control tower)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에버노트를 기반으로 축적된 자료는 새로운 글을 작성하다든지 이를 통해 공유하기도 쉽다.


빅데이타가 자료의 양에 문제가 아니라 비구조화된 정보를 다루는 문제라는 데이븐포트의 지적이 맞다면(데이브포트, Big data@work, 2014), 에버노트야 말로 검색, 태그 등의 기능을 잘 활용한다면 빅데이타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수도 있지 않을까?

2015년 2월 2일 월요일

보이솟(Max Boisot) 교수의 사회적 학습 순환(social learning cycle) 모형

2011년도에 타개하신 펜실바니아대학 Boisot교수의 Social Learning Cycle. 최근 집중해서 살펴보고 있는 모형이다.

SLC모형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개인의 암묵지는 문제해결과정과 센스메이킹(sense making)통해 비구조화된 정보가 구조화된다. 구조화된 정보만이 각종 모임, 소셜미디어, 출판 등의 방법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확산된다. 구조화된 정보만 조직자산으로서 가치가 있다. 확산된 정보는 각각 개인이 활용, 실행 등의 과정을 통해 내재화된다. 내재화과정을 거치면서 새로운 가치가 만들어진다. 새로운 가치는 정보 수집과정을 거쳐 다시 암묵지형태로 돌아온다.


최근 스마트워크와 소셜미디어에 대한 연구가 넘쳐나고 있지만, 너무 가볍고 통찰력이 높지 않아 불만이었는데, 갑자기 생각난 모형이 Boisot교수의 모형들이다. 박사과정시절 읽었던 내용이기도 하다. 외국에서의 높은 인지도에 비해 한국에서는 아직 잘 알려지지는 않은분. 이에 당분간 이분 연구에 집중하고자 한다. 에버노트와 소셜미디어 활용에 대한 설명을 SLC모형으로 풀어내는 것. 2015년 올해 연구주제이기도 하다.

2014년 5월 9일 금요일

독서토론. 2014.5.21. 메이커스

제조업과 정보통신의 만남. 그 중심에는 3D프린터가 있다. 그 생생한이야기...

2013년 9월 2일 월요일

[강의안] 소셜미디어로 세상과 소통하라

"소셜미디어로 세상과 소통하라". 2013.8월 강의버전입니다.

소셜미디어 활용사례가 경험중심으로 들어가 있구요.
이를 바탕으로 소통이 왜 중요한지를 설명했습니다.

워크숍으로는
1. 페이스북으로 아이디어 만들기
2. 페이스북으로 인맥지도 완성하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12년 9월 24일 월요일

SNS(1) 수업안


2012년 2학기 정보통신과 기업경영 강의계획서
2012년 2학기 e-비즈니스 세미나 강의계획서(GTEP)

강의주제: SNS(1)


Sns (201209024)박상혁 from Sanghyeok Park

강의안에 나오는 주요 동영상링크입니다.

2012년 8월 29일 수요일

2012년 2학기 e-비즈니스 세미나 강의계획서(GTEP)

From Evernote:

2012년 2학기 e-비즈니스 세미나 강의계획서(GTEP)


1. 수업개요

최근 정보통신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기술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스마트워크(Smart Work)이다. 이에 이번 학기에는 소셜네트워크와 스마트워크 기술을 활용방법에 대해 학습하고 실습하며, 또한 소셜네트워크를 블로그와 연동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론적 토대과 실습을 병행해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팀프로젝트 발표를 통해 SNS 연동된 블로그사이트를 구축할 예정이다.

2. 교재

3. 연락처
        
4. 성적평가 
  • 중간평가: 25%
  • 기말평가: 25%(개인 + 팀)
  • 개인활동(수업 및 숙제): 30%
  • 출석평가: 10%(3번이상 결석 F, 지각 또는 조퇴 2회는 1번 결석, 단 사유서 인정)
  • 팀활동: 10%
5. 수업계획 
일자내용참고자료
18.29강의소개
  • 오프라인 네트워크 맵핑(offline network mapping)
  • 강의소개 및 Q&A
소셜미디어 그게뭔데?!
29.3





9.5

오프라인 자료정리
  • 강의: 나의 인생과 마인드맵(박승희 한국액션러닝협회 실장)
  • 실습: 마인드맵 작성법
페이스북 페이지 특강
  • 강의: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명함 페이스북(백종옥 경남과기대 GTEP 팀장)
창의적 인재를 위한 마인드맵 시작하기

디자인의 진화와 기업의 활용전략
39.12
온라인 자료정리(1)
  • 강의: 스마트워크 활용 사례
  • 실습1: 에버노트 기초
  • 실습2: 온라인마인드맵 활용
디지털 마인드맵 활용하기

차세대 페이스북을 꿈꾸는 인터넷기업 3선
4
9.19
온라인 자료정리(2)
  • 강의: 에버노트와 함께 하는 대학교수 일상생활
  • 실습1: 에버노트 중급
  • 실습2: 드롭박스 활용
비즈니스 에버노트 중 일부.
59.26SNS(1)
  • 페이스북 활용
  • 트위터 활용
페이스북 그게뭔데?!
트위터 그게뭔데?!(개념편)
트위터 그게뭔데?!(활용편)

확산되는 소셜미디어와 기업소통전략
610.10SNS(2)
  • 블로거(blogger)와 구글플러스
블로거 그게뭔데?!
집단지성 그게뭔데?!

SNS의 정보홍수에서 집단지성을 꽃피우는 소셜컴퓨팅
710.17
중간고사
발표 및 레포트
810.24ChangeOn@GNTech 행사 참여


910.31디지털컨텐츠와 SNS(1)
  • 사진편집
  • 피카사웹과 구글플러스
  • 플릭커, 슬라이드쉐어 등
포토샵이 없이 웹에서 이미지 편집하고 보정하기

사진에서 배우는 창의성의 발현

1011.7디지털컨텐츠와 SNS(2)
  • 동영상편집
  • 유투브 활용
K팝의 성공전략과 기업활용전략
1111.14온라인 스토리텔링 기법과 실습(1)광고에서 소통을 배우다
1211.21온라인 스토리텔링 기법과 실습(2)마음을 움직이는 스토리텔링(한명수) 강의자료
마음을 움직이는 스토리텔링(한명수) 동영상

1311.28통합 소셜미디어 시스템 구축실습(1)
1412.5통합 소셜미디어 시스템 구축실습(2)
1512.12기말고사발표 및 레포트


2012년 8월 26일 일요일

2012년 2학기 정보통신과 기업경영 강의계획서

From Evernote:

2012년 2학기 정보통신과 기업경영 강의계획서


1. 수업개요

최근 정보통신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기술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스마트워크(Smart Work)이다. 이에 이번 학기에는 소셜네트워크와 스마트워크 기술을 활용방법에 대해 학습하고 실습하며, 또한 소셜네트워크를 블로그와 연동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론적 토대과 실습을 병행해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팀프로젝트 발표를 통해 SNS 연동된 블로그사이트를 구축할 예정이다.

2. 교재

3. 연락처
        
4. 성적평가
  • 중간평가: 25%
  • 기말평가: 25%(개인 + 팀)
  • 개인활동(수업 및 숙제): 30%
  • 출석평가: 10%(3번이상 결석 F, 지각 또는 조퇴 2회는 1번 결석, 단 사유서 인정)
  • 팀활동: 10%
5. 수업계획 
일자내용참고자료
18.27강의소개
  • 오프라인 네트워크 맵핑(offline network mapping)
  • 강의 소개 및 Q&A

29.3오프라인 자료정리
  • 강의: 나의 인생과 마인드맵(박승희 한국액션러닝협회 팀장)
  • 실습: 마인드맵 작성법
창의적 인재를 위한 마인드맵 시작하기

디자인의 진화와 기업의 활용전략
39.10
온라인 자료정리(1)
  • 강의: 스마트워크 활용사례
  • 실습1: 에버노트 기초
  • 실습2: 온라인마인드맵 활용
디지털 마인드맵 활용하기

차세대 페이스북을 꿈꾸는 인터넷기업 3선
4
9.17
온라인 자료정리(2)
  • 강의: 에버노트와 함께 하는 대학교수 일상생활
  • 실습1: 에버노트 중급
  • 실습2: 드롭박스 활용
비즈니스 에버노트 중 일부.
59.24SNS(1)
  • 강의: 소셜미디어가 어떻게 소통을 바꾸나?
  • 실습1: 페이스북 활용
  • 실습2: 트위터 활용
소셜미디어 그게뭔데?!
페이스북 그게뭔데?!
트위터 그게뭔데?!(개념편)
트위터 그게뭔데?!(활용편)

확산되는 소셜미디어와 기업소통전략
610.8SNS(2)
  • 실습: 페이스북 페이지

710.15
중간고사
발표 및 레포트
810.22SNS(3)
  • 강의: 소셜미디어와 집단지성
  • 실습: 구글블로거(blogger)와 구글플러스
블로그 그게뭔데?!
집단지성 그게뭔데?!

SNS의 정보홍수에서 집단지성을 꽃피우는 소셜컴퓨팅
910.29디지털컨텐츠와 SNS(1)
  • 강의: 창의적 기업경영
  • 실습1: 사진편집기술(피카사웹과 구글플러스)
  • 실습2: 컨턴츠관리기술(플릭커, 슬라이드쉐어 등)
포토샵이 없이 웹에서 이미지 편집하고 보정하기

사진에서 배우는 창의성의 발현

1011.5디지털컨텐츠와 SNS(2)
  • 강의: 소셜미디어와 음악산업
  • 실습1: 동영상편집(윈도우무비메이커)
  • 실습2: 유투브 활용
K팝의 성공전략과 기업활용전략
1111.12온라인 스토리텔링 기법과 실습(1)광고에서 소통을 배우다
1211.19온라인 스토리텔링 기법과 실습(2)마음을 움직이는 스토리텔링(한명수) 강의자료
마음을 움직이는 스토리텔링(한명수) 동영상

1311.26통합 소셜미디어 시스템 구축실습(1)
1412.3통합 소셜미디어 시스템 구축실습(2)
1512.10기말고사발표 및 레포트

2012년 8월 11일 토요일

에버노트와 함께하는 대학교수 일상생활

From Evernote:

에버노트와 함께하는 대학교수 일상생활


2012 에버노트 에듀 컨퍼런스의 발표자로 참석하게 되었습니다.



●  12:30 ~ 1:00  접수 및 등록
●  1:00 ~ 1:25  에버노트 에듀 컨퍼런스 Intro
기조연설 : 스마트교육 정책방향과 에버노트활용의 의의  |  이병승 교육연구사, 교육과학기술부
에버노트 한국지사 소개 및 향후계획  |  조명원 한국사업총괄담당, 진대연 기술지원담당
●  1:25 ~ 2:25  발표자 그룹 1.  [초/중/고교편]
초등학생과 함께한 학습노트 활용사례 - 독서노트와 협력노트  |  이호진 선생님, 울산 삼정초등학교
만학도 선생님의 에버노트 활용기  |  박종필 선생님, 평택 평일초등학교 (학생사례 공모전 2위)
교사의 스마트 잡무 그리고 스마트 학급 경영  |  안태일 선생님, 고양 중산고등학교
에버노트 파일럿팀 사례발표  |  박승훈 선생님, 에버노트 교육분야 앰배서더, 김해외국어고등학교
●  2:25 ~ 2:40  휴식
●  2:40 ~ 3:50  발표자 그룹 2.  [대학편]
일본 학교의 에버노트 활용사례  |  이노우에 켄, 에버노트 일본 사업본부장
대학생활의 모든 기록을 에버노트로...  |  김우성 학생, 경북대학교 (학생사례 공모전 1위)
에버노트를 대학교 때 활용하면 이런 점이 좋습니다!  |  전진주 학생, 국립안동대학교
에버노트와 함께하는 대학교수 일상생활  |  박상혁 교수, 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혜민아빠의 에버노트 활용팁  |  홍순성 소장, 에버노트 퍼블릭스피킹 앰배서더, 에버노트 라이프 저자
●  3:50 ~ 4:30  Q&A
●  4:30 ~ 4:45  파트너 소개
후지쯔 : ScanSnap 스캐너와 학생 포트폴리오 관리 SW 소개
형아소프트 : 러닝플랫폼 학습관리와 에버노트 연동 소개
북잼 : 에버노트에서 바로 전자책을 제작하는 셀프퍼블리싱 소개
●  4:45 ~ 5:00  경품추첨 및 마무리


올레생방송 1부: 발표자그룹1[초중고]



올레 생방송 2부: 발표자그룹2[대학]



제가 나오는 부분은 2부의 [00:51:15]부터 [01:09:55]까지 입니다.

PDF발표자료



제가 활용하고 있는 에버노트 기반 업무체계도 입니다.


플릿커 사진공유

http://flic.kr/s/aHsjBorp31



2012년 3월 28일 수요일

전자상거래무역학과 4학년 블로그

전자상거래무역학과 4학년 블로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전자상거래무역학과 4학년 EC서버구축 수업에서는 학습용으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학기에는 구글(google)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기에, 블로그도 구글블로그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박상혁 http://gisoopa.blogspot.com/

강봉균 http://qhdrbs88.blogspot.com/

김도행 http://dohaeng.blogspot.com/

김미주 http://miju0203.blogspot.com/

김성배 http://sasiston.blogspot.com/

김종성 http://jjongsi.blogspot.com/

김호성 http://hosing1004.blogspot.com/

박다영 http://mint0317.blogspot.com/

박다정 http://dajjong.blogspot.com/

박지호 http://beautymmmm.blogspot.com/

박해성 http://feellove1130.blogspot.com/

안영은 http://aanye.blogspot.com

예원정 http://nnymemoriesofu.blogspot.com/

이은경 http://didroddl757.blogspot.com/

이재엽 http://lekinal.blogspot.com/

이정민 http://jungminii.blogspot.com/

이종민 http://ehjongmin.blogspot.com/

이형규 http://jamsoon12.blogspot.com/

임선희 http://qqqwwwqqwwqw.blogspot.com/

임수경 http://inwhatevrer.blogspot.com/

최민 http://kleneed.blogspot.com/

추재용 http://wodyd.blogspot.com/

팽금미 http://vodrmaal.blogspot.com/

하현정 http://superhyeonie.blogspot.com/

황효민 http://hyomin0.blogspot.com/

2011년 12월 14일 수요일

소셜미디어강좌-12월 후기

일시: 12월8일(목) 저녁 7-10시
강사: 박상혁
특이사항: 소셜미디어와 액션러닝의 만남


Sns (20111208)박상혁 [slideshare id=10511045&w=425&h=355&sc=no]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Sanghyeok Park

강사포함해서 22명 참석했습니다
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
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
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
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uploaded by iFlickr

소셜미디어강좌-12월, Flickr의 세트

2011년 12월 5일 월요일

사회적활동가, 소상공인을 위한 SNS활용 커뮤니케이션실무강의

아름다운마을연구소와 전자상거래무역학과 전공동아리 아이단에서
사회적활동가, 소상공인을 위한 SNS활용 커뮤니케이션실무강의가 열립니다

사회적 활동가에게 있어서 대중과의 지속적인 소통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정보화 시대를 맞아 사람과 정보와 문화를 엮어내는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등의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활용은 필수적이다.
온라인 공간에서 하고 싶은 이야기를 시각화하고 소통할 수 있는 역량을
사회적 활동가가 갖추게 될 때,기관의 역량도 함께 강화될 것이다.
본 워크숍에서는 사회적 활동가가 사회적 활동을 위해
소셜미디어를 자유롭게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강의와 실습이 함께 진행될 것이다.

주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아름다운마을연구소/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전공동아리 아이딘
주관: 아이딘
강사: 박상혁(경남과기대 전자상거래무역학과 교수) / 아이딘 주니어 학생강사진
일시: 2011년 12월 8일(목) 저녁 7시 - 9시30분
장소: 경남과기대 인문사회과학대학2호관 3층 전자상거래실습실
대상자: 중소기업, 사회적기업, NGO, 시민단체, 종교단체 종사자 및 관심자
비용: 5,000원
문의 및 신청: 055-751-3660(경남과기대 전자상거래무역학과 사무실), www.bvi.kr
SNS_강좌

2011년 10월 21일 금요일

블로그 실험

수업중에 블로그와 SNS를 활용하고 있다. 개인블로그와 팀블로그를 만들어야 하고, 이를 SNS와 연동해야 한다.

학생들에게만 만들고 활용하라고 시키기에는 좀 미안한 마음이 있어서 나도 블로그를 개설했다. 10월12일 오픈한 블로그가 www.gisoopa.kr이다. 이 블로그는 워드프레스 가입형으로 하기로 하고, 티스토리(연구실), 이글루스(기독교), 네이버(수업)에서 운영하던것은 다 이곳으로 통합하고자 한다.

10월20일 현재, 일주일이 조금 더 지난 상황이라서 통계를 점검해 보았다.


개설 이틀째인 13일에 갑자기 수치가 오른 것은 지난주 정수현간사와 정진호님을 인용하며 페북에 링크걸은 것이 확실히 효과가 있었다. 온라인활동이 왕성한 두분의 페이스북을 타고 온 것으로 판단된다.



중간고사때 마인드맵으로 시험본것을 플리커에 올리고 이를 포스팅하였는데(10월19일), 이 역시 페이스북으로 연결해서 온 분들 덕분에 수치가 갑자기 올라갔다.



검색사이트를 통해 이 사이트에 온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오늘 부랴부랴 각종 검색사이트(네이버, 네이트, 다음, 구글, 야후)에 블로그를 등록시켰다. 아마 1주일 뒤면 반응이 있지 않을까? 계속 모니터링해볼 예정...

2011년 10월 20일 목요일

2011.10.19 마인드맵중간고사

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1)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이준협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이성영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이지은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백선철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조아영
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정현재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박찬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이동규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김시하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조한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김정운
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임주인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박상하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이명관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조현기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오진우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하희종
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정태영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노태경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남덕현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고성현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_최규하마인드맵중간고사_20111019(9)

중간고사를 마인드맵으로 시험을 보았습니다. 한번은 손으로 그리기. 또 한번은 컴퓨터(mind42)로 그리기. 찐한 2시간이었네요.

시험시간내내 아주 열심히 시험(?)을 보더군요. 진지하고도 재밌는 시간이었습니다. 뿌듯뿌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