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our website (gisoopa + TRUST).

Dream the impossible, Do the impossible love, Fight with unwinnable enemy, Resist the unresistable pain, Catch the uncatchable star in the sky.
이룰 수 없는 꿈을 꾸고,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하고, 이길 수 없는 적과 싸움을 하고, 견딜 수 없는 고통을 견디며, 닿을 수 없는 저 밤하늘의 별을 따자.
-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 중에서 -

혁신적 강의란?

혁신적 강의는 내 강좌를 세상에 공개함으로 시작한다. 더 많은 사람들이 내 수업에 들끓도록 하자.

2010년 11월 22일 월요일

세상은 흔들리고

"In his hand are the depths of the earth, and the mountain peaks belong to him. The sea is his, for he made it, and his hands formed the dry land. Come, let us bow down in worship, let us kneel before the Lord our Maker; for he is our God and we are the people of his pasture, the flock under his care." (Psalm 95:4 ~ 7)얼마전 또 다시 인도네시아에 큰 화산폭발이 있었다고 한다. 전보다 3배 규모로...전 세상이 확실하게 흔들리고 있다. 자연, 경제, 정치, 국가관계 등등 모든 것이 ....그분은 왜 이런 상황을 허용하셨을까? 이해하기는 쉽지않다. 선하신...

2010년 11월 18일 목요일

데라와 나오미

1. 데라 이야기 (창 11:31-32)아브라함의 아버지 데라는 그분의 부르심으로 메소포타미아 중심부인 갈대아 우르를 떠나 가나안으로 가려고 하였으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중간 거점 도시인 하란에 머문다. 더 이상은 그분의 계획하심이 성취되지 않고 하란 땅에서 죽는다는 이야기로 끝난다.성경기자의 기록은 냉정하다. 그분의 부르심으로 시작된 여행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간에 지체되고 결국 그 사역이 멈추게 되자 더이상 아무 기록도 남기지 않는다.(하란성)2. 나오미 이야기 (룻 1:1-18)가나안 땅에 기근이 있자, 세속적이었던 나오미 가족은 이민(모압)을 결정한다. 이스라엘 민족에게 기근이나 전쟁은 그분의 징계이다. 이때 해결책은 단 한가지, 회개이다. 하지만, 나오미 가족은 피해버린다. 오히려 이방문화의 땅으로 도망가 버린다. 그땅은 그노스신을 섬기는 땅이다. 그분의 임재를 피해...

2010년 11월 8일 월요일

God of Salvation

"Jews demand signs and Greeks look for wisdom, but we preach Christ crucified: a stumbling block to Jews and foolishness to Gentiles, but to those whom God has called, both Jews and Greeks, Christ the power of God and the wisdom of God." (1 Col. 1:22~24)유대 사람들은 표적을 요구했다. 이들에게 십자가를 제시하자 대부분 부담스러워했다. 그리스 사람들은 지혜를 요구했다. 이들에게 십자가를 제시하자 바보같은 짓이라고 무시했다.그러나 어떻게 이해하랴. 십자가야 말로 하나님의 강력한 능력이자 지혜인 것을...많은 기독교인들은 고난이라는 말은 부담스러워하고, 축복과 성공에만 관심을 둔다. 모든것을 드리라는...

2010년 11월 1일 월요일

우리의 불안은 자녀의 불안은 아니다.

대안학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부모의 입장에서 보면, 자녀의 미래에 대한 불안은 우리의 욕심의 불안에서 부터 온 것이다.원래 그랬던 것은 아닌데, 민들레학교의 김인수 교장선생님 덕분에, 충분히 의식화(?)가 되었다. 아예 대학을 안 보낼 수도 있다고 우리 부부는 생각이 바뀌게 된 것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순간 순간 다른 생각(불안, 초조)이 불쑥 들어오는 것은 막기가 쉽지 않다. 99명이 가는 길을 바라볼때, 아무도 그 반대길을 간다고 느껴지지 않을때는 순간 내가 착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이럴때, 다시금 제정신을 차리며, 힘을 북돋아주는 것은, 김규항씨와 같은 분의 글을 읽을 때인거 ...